한국의 ODA 추진체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614회 작성일 21-08-24 15:58본문
한국의 ODA 담당 기관은 총괄 및 조정기구, 주관기관, 시행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국제개발협력위원회는 '총괄 및 조정기구'로서, ODA에 관한 정책들이 종합적·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주요 사항을 심의·조정합니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에 개발협력정책관실을 신설(2010년 1월)하여,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의 사무국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와 외교부는 각각 유상원조와 무상원조의 '주관기관'으로, 각각 분야별 5년 기본계획과 연간 시행계획안을 작성하고 이행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KOICA(외교부 산하)와 한국수출입은행(기재부 산하)은 각각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를 집행하는 '시행기관'의 역할을 하며,
국토교통부(해외건설협회) 등 30여개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무상원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 ODA KOREA
이 중 국제개발협력위원회는 '총괄 및 조정기구'로서, ODA에 관한 정책들이 종합적·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주요 사항을 심의·조정합니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에 개발협력정책관실을 신설(2010년 1월)하여, 국제개발협력위원회의 사무국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와 외교부는 각각 유상원조와 무상원조의 '주관기관'으로, 각각 분야별 5년 기본계획과 연간 시행계획안을 작성하고 이행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KOICA(외교부 산하)와 한국수출입은행(기재부 산하)은 각각 무상원조와 유상원조를 집행하는 '시행기관'의 역할을 하며,
국토교통부(해외건설협회) 등 30여개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무상원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출처 : ODA KOREA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