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즈베키스탄 외교장관 회담 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2,237회 작성일 21-08-03 18:40본문
한-우즈베키스탄 외교장관회담(7.30.) 결과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공식 방한중인 「압둘라지즈 카밀로프 (Abdulaziz KAMILOV)」 우즈베키스탄 외교장관과 7.30.(금) 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 방안과 국제 현안 등 상호 관심사에 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
※ 카밀로프 외교장관은 2020년 11월 제13차 한-중앙아 협력포럼 참석차 방한 이후 8개월 만에 방한
양 장관은 코로나19 상황 속에도 올해 1월 한-우즈베키스탄 화상정상회담 개최, 고위인사 상호 방문 등 활발한 대면․비대면 교류를 통해 양국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양 장관은 양국이 1992년 수교 이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우호협력 관계를 발진시켜 왔으며, 양국관계가 2019년 4월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이후 다방면으로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아울러 2022년 수교 3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사업을 통해 양국 간 문화·인적 교류가 확대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 한-우즈베키스탄 수교 기념일: 1992.1.29.
※ 2021 고위급 교류 현황: (방문) 국회의장(4월), 경찰청장(6월), 국세청장(7월)/ (방한) 보건장관(5월), 고용노동장관(6월), 외교장관(8월)
양 장관은 △교역․투자, △보건․의료 및 교육 분야 경험 공유,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양 장관은 올해 1월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우즈베키스탄 무역협정 협상의 본격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 한-우즈베키스탄 무역협정: 우리 정부가 중앙아 5개국 포함 신북방 정책 대상국(13개)과 추진하는 최초의 상품분야 무역협정/ 올해 1월 정상회담 계기 협상 개시를 선언한 이후 4월 제1차 협상 개최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공식 방한중인 「압둘라지즈 카밀로프 (Abdulaziz KAMILOV)」 우즈베키스탄 외교장관과 7.30.(금) 회담을 갖고, 양국 협력 방안과 국제 현안 등 상호 관심사에 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
※ 카밀로프 외교장관은 2020년 11월 제13차 한-중앙아 협력포럼 참석차 방한 이후 8개월 만에 방한
양 장관은 코로나19 상황 속에도 올해 1월 한-우즈베키스탄 화상정상회담 개최, 고위인사 상호 방문 등 활발한 대면․비대면 교류를 통해 양국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양 장관은 양국이 1992년 수교 이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우호협력 관계를 발진시켜 왔으며, 양국관계가 2019년 4월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이후 다방면으로 협력이 확대되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
아울러 2022년 수교 30주년을 맞아 다양한 기념사업을 통해 양국 간 문화·인적 교류가 확대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 한-우즈베키스탄 수교 기념일: 1992.1.29.
※ 2021 고위급 교류 현황: (방문) 국회의장(4월), 경찰청장(6월), 국세청장(7월)/ (방한) 보건장관(5월), 고용노동장관(6월), 외교장관(8월)
양 장관은 △교역․투자, △보건․의료 및 교육 분야 경험 공유,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양 장관은 올해 1월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우즈베키스탄 무역협정 협상의 본격 추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 한-우즈베키스탄 무역협정: 우리 정부가 중앙아 5개국 포함 신북방 정책 대상국(13개)과 추진하는 최초의 상품분야 무역협정/ 올해 1월 정상회담 계기 협상 개시를 선언한 이후 4월 제1차 협상 개최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